올림픽 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유도는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남자 7체급, 여자 7체급, 혼성 단체전으로 진행된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여자 유도가 공개 종목으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2020년 도쿄 올림픽부터는 혼성 단체전이 추가되었다. 경기는 체급별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대한민국은 유도 강국으로서 올림픽에서 꾸준히 메달을 획득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도 대회 -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는 유럽 유도 연맹 주관으로 시작되어 남자 개인전 위주로 진행되다가 여자부 경기와 혼성 단체전이 추가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종목과 연령대별 대회를 통해 유럽 유도 발전에 기여하는 유럽 최고 권위의 유도 대회이다. - 유도 대회 - 도쿄 그랜드슬램 유도대회
도쿄 그랜드슬램 유도대회는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국제 유도 대회로, 과거 가노 지고로배 도쿄 국제 유도 대회에서 IJF 월드 유도 투어의 그랜드슬램 대회로 변경되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된 적도 있지만 한국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는 대회이다. - 올림픽 유도에 관한 - 1992년 하계 올림픽 유도
1992년 하계 올림픽 유도는 바르셀로나에서 남자와 여자 각 7체급씩 총 14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여자 유도 종목이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김미정의 금메달과 윤현의 은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유도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유도
1996년 하계 올림픽 유도는 애틀랜타 조지아 월드 콩그레스 센터에서 남자 7종목과 여자 7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를 포함해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유도 - 1992년 하계 올림픽 유도
1992년 하계 올림픽 유도는 바르셀로나에서 남자와 여자 각 7체급씩 총 14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여자 유도 종목이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김미정의 금메달과 윤현의 은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유도 - 1996년 하계 올림픽 유도
1996년 하계 올림픽 유도는 애틀랜타 조지아 월드 콩그레스 센터에서 남자 7종목과 여자 7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를 포함해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유도 | |
---|---|
올림픽 유도 | |
코드 | JUD |
스포츠 | 유도 |
남자 종목 | 7 |
여자 종목 | 7 |
혼합 종목 | 1 |
관련 웹사이트 | 국제 올림픽 위원회 - 유도 |
역사 | |
기원 | 주짓수 |
발전 | 가노 지고로의 유도 |
올림픽 참가 | |
남자 | 1964년 도쿄 올림픽 ~ 현재 |
여자 |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 현재 |
2. 역사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유도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는 제외되었다. 이후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다시 정식 종목으로 복귀하였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여자 유도가 시범 종목으로 처음 실시되었고,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여자 유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2020년 도쿄 올림픽부터는 남녀 혼성 단체전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원래 1940년 도쿄 올림픽에서 유도가 시범 종목으로 채택될 예정이었으나, 국제 분쟁으로 인해 대회가 개최되지 못했다.
2. 1. 주요 연혁
- 1940년 도쿄 올림픽에서 유도가 시범 종목으로 채택될 예정이었으나, 국제 분쟁으로 인해 대회 개최가 중단되었다.
- 1960년 로마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유도가 1964년 도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남자 유도 경기가 실시되었다.
-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는 유도가 제외되었다.
-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남자 유도 경기가 재개되었다.
-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여자 유도가 시범 종목으로 실시되었다.
-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여자 유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2012년 런던 올림픽부터 세계 랭킹 제도에 따라 출전 선수를 선발하게 되었다.
- 2020년 도쿄 올림픽부터 남녀 혼성 단체전이 실시되었다.
3. 경기 방식
올림픽 유도는 체급별로 진행되며, 각 국가는 체급당 한 명의 선수만 출전시킬 수 있다.[4] 금메달과 은메달은 단일 토너먼트 방식으로 결정된다. 각 체급에서 2개의 동메달이 수여되는데, 8강전에서 패한 선수들은 패자부활전을 통해 동메달 획득 기회를 얻는다.[5]
3. 1. 패자부활전
8강전에서 패한 선수들은 패자부활전을 통해 동메달 획득 기회를 얻는다. 패자부활전 승자는 준결승전에서 패한 선수와 동메달 결정전을 치러 승리한 2명이 동메달을 획득한다.[5]4. 체급
올림픽 유도는 남자 7체급, 여자 7체급, 혼성 단체전으로 구성된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을 당시에는 4체급이었으나, 이후 체급이 늘어나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는 남녀 모두 7체급으로 진행되고 있다.[8] 다만, 선수들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동일 체급 내에서도 체중 제한 상한선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1980년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당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무제한급 폐지를 결정했으나, 같은 해 7월 31일 국제 유도 연맹(IJF)은 이에 반발하여 철회를 요구했다.[16] 1980년 10월 30일, IJF 회장 마쓰마에 시게요시는 IOC 이사회에 참석하여 무제한급 폐지 철회를 재차 요구했고, 사마란치 당시 IOC 위원장은 이듬해 IOC 총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을 약속했다.[17] 1981년 10월 1일, 서독 바덴바덴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무제한급을 다시 도입하기로 결정되었다.[18] 그러나 1986년 IOC 이사회는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무제한급을 폐지하기로 최종 결정했다.[19]
역대 올림픽 유도 체급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종목 | 1964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계 | ||
---|---|---|---|---|---|---|---|---|---|---|---|---|---|---|---|---|
남자 60kg급 | • | • | • | • | • | • | • | • | • | • | 10 | |||||
남자 66kg급 | • | • | • | • | • | • | 6 | |||||||||
남자 73kg급 | • | • | • | • | • | • | 6 | |||||||||
남자 81kg급 | • | • | • | • | • | • | 6 | |||||||||
남자 90kg급 | • | • | • | • | • | • | 6 | |||||||||
남자 100kg급 | • | • | • | • | • | • | 6 | |||||||||
남자 100kg이상급 | • | • | • | • | • | • | 6 | |||||||||
여자 48kg급 | • | • | • | • | • | • | • | 7 | ||||||||
여자 52kg급 | • | • | • | • | • | • | • | 7 | ||||||||
여자 57kg급 | • | • | • | • | • | 5 | ||||||||||
여자 63kg급 | • | • | • | • | • | 5 | ||||||||||
여자 70kg급 | • | • | • | • | • | 5 | ||||||||||
여자 78kg급 | • | • | • | • | • | 5 | ||||||||||
여자 78kg이상급 | • | • | • | • | • | 5 | ||||||||||
남자 63kg급 | • | • | 2 | |||||||||||||
남자 65kg급 | • | • | • | • | 4 | |||||||||||
남자 68kg급 | • | 1 | ||||||||||||||
남자 70kg급 | • | • | 2 | |||||||||||||
남자 71kg급 | • | • | • | • | 4 | |||||||||||
남자 78kg급 | • | • | • | • | 4 | |||||||||||
남자 80kg급 | • | • | • | 3 | ||||||||||||
남자 80kg이상급 | • | 1 | ||||||||||||||
남자 86kg급 | • | • | • | • | 4 | |||||||||||
남자 93kg급 | • | • | 2 | |||||||||||||
남자 93kg이상급 | • | • | 2 | |||||||||||||
남자 95kg급 | • | • | • | • | 4 | |||||||||||
남자 95kg이상급 | • | • | • | • | 4 | |||||||||||
남자 무제한급 | • | • | • | • | • | 5 | ||||||||||
여자 56kg급 | • | • | 2 | |||||||||||||
여자 61kg급 | • | • | 2 | |||||||||||||
여자 66kg급 | • | • | 2 | |||||||||||||
여자 72kg급 | • | • | 2 | |||||||||||||
여자 72kg이상급 | • | • | 2 | |||||||||||||
합계 | 4 | 6 | 6 | 8 | 8 | 7 | 14 | 14 | 14 | 14 | 14 | 14 | 14 |
4. 1. 남자
올림픽 유도는 현재 남자 7개의 체급으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된다. 각 체급은 다음과 같다.체급 |
---|
엑스트라 라이트급 (-60kg) |
하프 라이트급 (-66kg) |
라이트급 (-73kg) |
하프 미들급 (-81kg) |
미들급 (-90kg) |
하프 헤비급 (-100kg) |
헤비급 (+100kg) |
4. 2. 여자
올림픽 유도의 여자 체급은 다음과 같이 변화해왔다.1988-1996 | 2000- |
---|---|
최경량급 48kg 이하 | 최경량급 48kg 이하 |
경량급 56kg 이하 | 경량급 52kg 이하 |
경량급 56kg 이하 | 경량급 57kg 이하 |
경중량급 61kg 이하 | 경중량급 63kg 이하 |
중량급 66kg 이하 | 중량급 70kg 이하 |
경중량급 72kg 이하 | 경중량급 78kg 이하 |
중량급 72kg 초과 | 중량급 78kg 초과 |
2020년 하계 올림픽 혼성 단체전에서는 여자 -57kg, -70kg, +70kg 체급의 선수들이 참가한다.[8]
4. 3. 혼성 단체전
혼성 단체전은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선을 보였다. 이 경기는 남자 3명(-73kg, -90kg, +90kg)과 여자 3명(-57kg, -70kg, +70kg)으로 구성된, 6명의 서로 다른 체급의 선수들로 구성된 팀들이 참가한다.[8] 국가 대항전으로 진행되며, 각 라운드는 6개의 개인전으로 구성된다. 각 경기 승자에게는 1점이 주어지며,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기 위해 팀이 얻어야 하는 최소 점수는 4:2이다.[8] 점수가 3:3으로 동점일 경우, 추첨을 통해 선택된 체급으로 추가 경기가 진행된다.5.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계 |
---|---|---|---|---|---|
1 | 48 | 21 | 27 | 96 | |
2 | 16 | 13 | 28 | 57 | |
3 | 11 | 17 | 18 | 46 | |
4 | 8 | 3 | 11 | 22 | |
5 | 6 | 15 | 16 | 37 | |
6 | 5 | 5 | 13 | 23 | |
7 | 5 | 4 | 7 | 16 | |
8 | 4 | 5 | 3 | 12 | |
9 | 3 | 3 | 6 | 12 | |
10 | 4 | 3 | 17 | 24 | |
11 | 4 | 2 | 18 | 24 | |
12 | 3 | 3 | 15 | 21 | |
13 | 3 | 3 | 2 | 8 | |
14 | 3 | 1 | 2 | 6 | |
15 | 3 | 0 | 0 | 3 | |
16 | 2 | 4 | 8 | 14 | |
17 | 2 | 3 | 2 | 7 | |
18 | 2 | 2 | 4 | 7 | |
19 | 2 | 1 | 10 | 13 | |
20 | 2 | 1 | 3 | 6 | |
21 | 2 | 0 | 2 | 4 | |
22 | 2 | 0 | 0 | 2 | |
23 | 1 | 4 | 6 | 11 | |
24 | 1 | 4 | 3 | 8 | |
25 | 1 | 3 | 6 | 10 | |
26 | 1 | 2 | 6 | 9 | |
27 | 1 | 2 | 3 | 6 | |
28 | 1 | 2 | 2 | 5 | |
29 | 1 | 1 | 2 | 4 | |
30 | 1 | 0 | 1 | 2 | |
1 | 0 | 1 | 2 | ||
1 | 0 | 1 | 2 | ||
1 | 0 | 1 | 2 | ||
34 | 0 | 8 | 12 | 20 | |
35 | 0 | 2 | 5 | 7 | |
0 | 2 | 5 | 7 | ||
37 | 0 | 2 | 2 | 4 | |
38 | 0 | 1 | 5 | 6 | |
39 | 0 | 1 | 3 | 4 | |
40 | 0 | 1 | 2 | 3 | |
41 | 0 | 1 | 1 | 2 | |
0 | 1 | 1 | 2 | ||
0 | 1 | 1 | 2 | ||
0 | 1 | 1 | 2 | ||
45 | 0 | 1 | 0 | 1 | |
0 | 1 | 0 | 1 | ||
47 | 0 | 0 | 3 | 3 | |
0 | 0 | 3 | 3 | ||
0 | 0 | 3 | 3 | ||
50 | 0 | 0 | 2 | 2 | |
0 | 0 | 2 | 2 | ||
52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합계 | 152 | 151 | 304 | 607 |
대한민국은 올림픽 유도에서 1984년 하계 올림픽 안병근 선수의 대한민국 최초 금메달 획득, 1996년 하계 올림픽 전기영 선수, 2000년 하계 올림픽 정성숙 선수의 금메달 획득을 포함하여 2024년 하계 올림픽까지 금메달 11개, 은메달 17개, 동메달 18개로 총 46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유도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23]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Jiu Jitsu: Judo Grows Into An Olympic Sport
http://bleacherrepor[...]
2017-05-18
[2]
뉴스
Japan Shocked By IOC
https://newspaperarc[...]
Pacific Stars And Stripes
1963-10-20
[3]
웹사이트
Olympic Judo
https://olympics.com[...]
2024-09-23
[4]
웹사이트
QUALIFICATION SYSTEM – GAMES OF THE XXXI OLYMPIAD – RIO 2016
http://www.intjudo.e[...]
2016-08-08
[5]
웹사이트
Weight classes for 2016 Games
http://multimedia.ol[...]
2016-08-08
[6]
문서
Called "Light Heavyweight" in official reports for 1972 and 1976 Games.
[7]
문서
Called "Welterweight" in 1972 Games official report and "Light Middleweight" in 1976 Games official report.
[8]
웹사이트
What is the new judo mixed team event?
https://olympics.com[...]
2021-08-02
[9]
웹사이트
Judo - Olympics at Sports-Reference.com
https://www.sports-r[...]
[10]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1-31
[11]
웹사이트
講道館柔道の歴史
http://kodokanjudoin[...]
2020-12-04
[12]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3]
간행물
メキシコオリンピックに柔道不参加と決る
"{{NDLDC|6073390/6}}[...]
"[[講道館]]"
1966-06-01
[14]
PDF
ロンドンオリンピック出場資格概要(国際柔道連盟)
http://www.judo.or.j[...]
[15]
뉴스
東京五輪の新種目決定 柔道男女3人の「団体」など
http://www3.nhk.or.j[...]
[16]
뉴스
柔道無差別級廃止 IJF撤回要求へ
読売新聞
1980-08-01
[17]
뉴스
無差別級存続、望み IOC会長、再検討約束
読売新聞
1980-10-31
[18]
뉴스
ロス五輪 新種目が16 女子マラソン決定 柔道無差別級も復活
読売新聞
1981-10-02
[19]
문서
無差別級廃止でSライト新設 ソウル五輪柔道
[20]
웹사이트
東京オリンピックで初採用!柔道の男女混合団体戦とは
https://olympics.com[...]
[21]
웹사이트
Judo - Mongolia vs Israel - Elimination First Round Results
https://olympics.com[...]
2024-08-03
[22]
문서
旧姓の「田村」時代も含む。
[23]
웹사이트
judobase.org
http://www.judobase.[...]
[24]
웹인용
유도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